-
[ 목차 ]
오늘은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지원대상은 어떻게 되는지, 어떠한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알아보고 신청방법까지 한번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노인돌봄 서비스 지원대상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독거, 조손, 고령 부부 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
시장, 군수, 구청장이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어르신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유사한 다른 복지 서비스를 이미 받고 있는 경우 중복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유사·중복 사업 자격자에 해당하는 경우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자: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노인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 이용자: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은 가사 및 간병 서비스가 필요한 가정에 방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중복될 수 있습니다.
국가보훈처 보훈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 국가보훈처에서 제공하는 보훈재가복지서비스는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에게 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중복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장애인 활동지원 사업 이용자: 장애인 활동지원 사업은 장애인의 자립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중복될 수 있습니다.
기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서비스 중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유사한 재가서비스 이용자: 이 외에도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유사한 재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노인돌봄서비스 서비스 내용
노인돌봄서비스는 어르신들의 다양한 욕구에 맞춰 안전 지원, 사회 참여, 생활 지원 등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어르신들의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어르신들의 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을 목표로 합니다.
첫째로 안전 지원 차원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안전 확인: 정기적인 방문, 안부 전화,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등을 통해 어르신의 안전을 확인합니다.
응급 안전: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둘째로 사회 참여적인 부분에서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일상생활 지원: 외출 동행, 말벗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어르신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돕습니다.
여가 활동 지원: 문화, 여가 활동 참여를 지원하여 어르신의 삶의 질을 향상합니다.
셋째로 생활 지원 부분의 서비스르르 제공합니다.
일상생활 지원: 식사, 청소, 세탁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건강 지원: 건강 상태 확인, 건강 상담, 병원 동행 등을 지원합니다.
노인돌봄서비스 신청방법
노인돌봄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 친족, 또는 이해관계인이 서비스 대상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신청 시 신청서와 신분증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 합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정보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