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차량을 주차하다 보면 부득이하게 주정차 위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주정차 위반 과태료가 부과되었는지 조회하고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및 납부방법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위택스를 통한 조회 및 납부방법이 있습니다.
1. 위택스(wetax.go.kr)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위택스 회원이 아니라면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3.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납부하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4. '전자납부번호 조회'를 클릭하고, 차량번호와 주민번호를 입력하여 조회합니다.
5. 조회 결과에 따라 과태료가 있다면 해당 과태료를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wetax.go.kr/tcp/wtg/J040401M02.do
wetax
지방세,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www.wetax.go.kr
두번째 방법은 정부24를 통한 조회 및 납부 방법 입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검색창에 '과태료'를 입력하고 관련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3.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과태료 내역을 조회합니다.
4. 조회된 과태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입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주정차 위반 과태료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https://www.efine.go.kr/main/main.do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www.efine.go.kr
https://v.daum.net/v/20201228072405993
'더강남' 앱 주정차위반 과태료 조회·납부 가능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더강남’앱에서 간단한 본인확인 절차와 차량번호 입력으로 주정차위반 과태료를 조회·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난 21일부터 제공 중이
v.daum.net
네번째 방법은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를 통한 조회 방법입니다.
이는 각 지역별로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지 관할 구청 또는 시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과태료 조회 방법을 확인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 후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과태료 내역을 조회합니다.
서울시 주정차 과태료 조회
https://cartax.seoul.go.kr/cartax/main/main.do
서울특별시 단속조회
의견제출/이의제기 안내 불법주정차 및 전용차로위반 단속에 이의가 있을 경우 의견을 제출하실 수 있습니다. 의견제출/이의제기 안내 <!-- 의견진술/ 이의제기 안내 의견진술/ 이의제기 등록 -->
cartax.seoul.go.kr
파주시 주정차 과태료 조회
파주시 주정차단속조회 민원시스템
car.paju.go.kr
부산광역시 주정차 과태료 조회
부비카정보서비스
부산광역시 홈페이지ID로 로그인을 하시면 위반내역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buvicar.busan.go.kr
대전시 주정차 과태료 조회
https://bus-parking.daejeon.go.kr/
대전시청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 | | 관련사이트 이동 행정안전부 국민신문고 대전시청 동구청 서구청 중구청 유성구청 대덕구청 대전지방경찰청 중부경찰서 동부경찰서 서부경찰서 대덕경찰서 둔산경찰서 유성경찰서
bus-parking.daejeon.go.kr
그 외 방법으로 일부 은행 앱에서는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과태료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온라인 조회 및 납부 방법이 어려우시다면 주민등록증을 지참하고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과태료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주정차 과태료 조회 및 납부 주의사항
주정차 과태료 조회 및 납부 시 주의사항을 몇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조회 시 차량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이 필요합니다.
과태료는 납부 기한이 정해져 있으므로,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진납부 시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
과태료 부과에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관할 행정기관에 이의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과태료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불필요한 추가 비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면 더욱 간편하게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해당 지자체 교통과 또는 위택스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